SSL(Secure Socket Layer)은 웹 서버와 브라우저 간에 암호화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표준 보안 기술입니다.
이 보안 링크를 사용하면 전송된 모든 데이터가 비공개로 유지됩니다.
TLS(전송 계층 보안)라고도 합니다.
수백만 개의 웹 사이트에서 매일 SSL 암호화를 사용하여 연결을 보호하고 고객 데이터가 모니터링 및 변조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유지합니다.
SSL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
인터넷상 모든 웹 사이트가 HTTPS를 통해 제공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성능: 최신 SSL은 실제로 페이지 로드 시간을 줄여줍니다.
검색 순위 향상: 검색 엔진은 HTTPS 웹 사이트를 선호합니다.
보안: SSL로 트래픽을 암호화하면 아무도 사용자 데이터를 스누핑할 수 없습니다.
신뢰: 브라우저의 주소 표시줄에 녹색 자물쇠가 표시되어 SSL이 방문자의 신뢰를 높입니다.
규정 준수: SSL은 PCI 규정 준수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.
TLS(Transport Layer Security) 프로토콜은 SSL(Secure Socket Layer) 프로토콜에서 발전한 것
두 프로토콜의 주요 목표는 기밀성(때로는 사생활 보호라고도 함), 데이터 무결성, ID 및 디지털 인증서를 사용한 인증을 제공하는 것입니다.
두 프로토콜이 유사하긴 하지만 SSL 3.0과 TLS의 다양한 버전이 상호 운용되지 않는다는 점은 상당한 차이점
전송 계층 보안 (영어: Transport Layer Security, TLS, 과거 명칭: 보안 소켓 레이어/Secure Sockets Layer, SSL)는 암호 규약이다.
그리고 '트랜스포트 레이어 보안'이라는 이름은 '보안 소켓 레이어'가 표준화 되면서 바뀐 이름이다.
이 규약은 인터넷 같이 TCP/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에 적용되며, 통신 과정에서 전송계층 종단간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을 확보해준다
'IT이야기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용어] 여행, 항공, 호텔 관련 (0) | 2019.04.30 |
---|---|
[IT용어] 스니핑, 스누핑, 스푸핑 정리 (0) | 2019.03.05 |
[IT용어] 자바 어노테이션 (0) | 2019.02.25 |
[취업] 우아한형제들 (배달의 민족) 개발관련 채용공고 (1) | 2019.02.25 |
[IT 용어] 퍼시스턴스 프레임워크 (0) | 2019.02.25 |